누가복음 19:11-27
11절 비유를 베푸신 상황설명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가까이 오셨고 사람들은 하나님의 나라가 곧 올 것이라고 생각했다.
12-14절 귀인이 왕위를 받으러 먼 나라로 가면서 종 열을 불러 열므나를 나누어 주고 장사하라고 이름
귀인이 왕위를 받으러 간 사이 백성들이 사신을 보내 귀인을 왕으로 원하지 않는다고 함
15- 26절 귀인이 왕위를 받고 돌아와 종들과 정산을 함
김충성 - 장사를 잘해 열므나를 남김 / 귀인이 칭찬하며 그에게 열 고을을 맡김
이충성 - 장사를 잘해 다섯 므나를 남김 / 귀인이 칭찬하며 그에게 다섯 고을을 맡김
안배반 - 장사를 하지 않고 돈을 땅에 뭍어놓음 / 귀인이 화를 내며 그의 므나를 빼앗아 열 므나 가진 종에게 줌
27절 - 자신이 왕이 되는 것을 반대하여 사신을 보낸 백성들을 죽임
위의 비유를 통해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장사를 잘해 열 므나를 남긴 이건휘처럼 열심히 살아야 한다.
성과를 내야 한다.
이것이 예수님께서 이 비유를 통해 하시고자 하는 말씀일까?
예수님은 이 비유를 어떤 상황에서 하신 것인가?
삭개오의 이야기에 이어지는 상황에서 하신 것이다.
삭개오의 이야기에서 삭개오는 어떠한 결정을 하였는가?
자신이 주인으로 여겼던 돈을 내려놓고 예수님을 주인으로 섬기는 결정을 하여 하나님나라 백성이 되었다.
삭개오의 이야기는 돈의 노예였던 삭개오가 하나님을 주인으로 섬기는 하나님나라 백성이 되는 이야기이다.
삭개오 이야기에서 이어지는 것이 바로 이 비유이다.
11절을 보면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가까이 오셨고 사람들은 하나님나라가 가까이 왔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 비유를 하셨다고 서술하고 있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가까이 오셨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부활승천하실 날이 가까이 왔다는 의미이다.
예수님은 부활승천하실 날이 가까운데 백성들은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고 생각하고 있다.
어떠한 상황인가?
예수님은 십자가에 달리셔서 죽으셔서 하나님의 계획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 눈에는 예수님은 패배자이고 새로운 메시아를 기다리는 상황인데
하나님의 계획을 아는 제자들은 믿음으로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을 염두에 두고 이 비유를 베푸신 것이다.
비유의 내용을 다시 보자
비유는 귀인이 왕위를 받으려고 먼나라로 가게 된 상황에서 시작된다.
먼나라로 가게 된 귀인은 종 열에게 한 므나씩(일꾼의 하루 품삯)을 나누어 주면 장사를 하라고 한다.
그리고 귀인은 먼나라로 가고 귀인이 왕이 되는 것을 반대한 백성들은 사신을 보내 귀인이 왕이 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 비유는 실제로 헤롯 아켈라오가 로마에 가서 왕위를 받으러 갔을 때 유대인들이 로마에 사신을 보내 아켈라오가 왕이 되지 못하도록 한 사건을 예수님께서 비유로 사용하신 것이다.
귀인은 왕이 되어서 돌아오고 종들이 장사를 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김충성는 장사를 했고 열므나를 남겨서 그의 능력에 맞게 열고을을 맡긴 것이다.
이충성도 장사를 했고 다섯므나를 남겨서 그의 능력에 맞게 다섯고을을 맡긴 것이다.
그런데 이배반은 장사를 안 했고 장사를 이배반은 므나를 빼앗겼고 아무런 고을도 받을 수 없었다.
그렇다면 이배반은 왜 장사를 안 했을까?
장사를 하는 것이 어떤 의미일까?
귀인은 왕위를 받으러 먼나로 간 상황이고 백성들은 그가 왕이 되는 것을 싫어한 상황이었다.
그러니까 귀인은 왕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고
귀인의 종들은 귀인이 왕이 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당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니까 장사를 한 사람들은 귀인에게 충성을 다하는 의미로 장사를 한 것이다.
귀인이 왕이 되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은 가운데 나는 귀인에게 충성을 바치는 귀인의 종임을 나타내는 의미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배반은 왜 장사를 안 했을까?
이배반은 귀인이 왕이 되지 않을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귀인의 사람이라는 충성을 나타내는 것이 싫었을 것이다.
그래서 이배반은 장사를 하지 않은 것이다.
이 비유에서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은 충성하겠는가? 이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서 사람들의 눈에는 패배자처럼 보여도 예수님께서 왕으로 다시 오실 재림을 기다리며 예수님께 충성할 수 있겠는가? 라는 것이다.
17주인이 이르되 잘하였다 착한 종이여 네가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하였으니 열 고을 권세를 차지하라 하고
예수님께서 김충성을 칭찬하신 것은 그의 충성이었다. 그의 장사수완이 아니었다.
예수님을 향한 변하지 않은 충성을 칭찬하신 것이고 열 고을을 맡기신 것은 그의 능력에 맡게 자신의 나라를 맡기신 것이다 .
이배반이 책망을 당하고 므나를 빼앗긴 이유는 예수님을 향한 충성을 보이지 못한 것 때문이지 그가 므나를 남기지 못한 것 때문이 아니다 .
예수님은 우리에게 성과를 요구하시지 않는가?
예수님은 우리에게 충성과 사랑을 요구하신다.
능력이 좋은 사람과 능력이 조금 부족한 사람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것은 능력이 아니다.
성과가 아니다.
우리의 충성이다.
세상이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따라가지 않으면 바보이고 뒤처지고 패배자인 것 처럼 느껴지는 세상에서 예수님이라는 가치
복음이라는 가지 하나님나라라는 가치를 붙드는가를 보신다.
수능도 끝나고 한해도 끝나간다.
이러한 때 성과를 내지 못한 것 같아서
더 노력하지 못한 것 같아서 자신을 자책할 수 있다.
그러나 기억하자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성과가 아니라고 더욱더 노력해서 무언가를 이루어 내는 것이 아니라고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충성이라고 나는 예수님편이라고 드러내는 우리의 삶이라고 ....
세상의 가치관을 교회에도 가져와서 실패감에 빠지고 좌절하지 말자고
그리고 남을 정죄하지도 말자고 ....
충성할 수 있는 사랑할 수 있는 예수님과 하나님나라를 알게 해 주신 하나님의 사랑에 감사하자고 ....
생각해 볼 문제
1.하나님이 구원받은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2.하나님에 대한 우리의 충성과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겠는가?